Post

머신러닝 공부 -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Distance Formula) 쉽게 이해하기

머신러닝 공부 -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Distance Formula) 쉽게 이해하기

본 포스팅에서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알아본다.

그런데 거리(distance)를 왜 구해야 할까? 거리는 일종의 유사도(Similarity) 개념이기 때문이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 특성(feature)들이 비슷하다는 뜻이니까. 그래서 머신러닝 알고리즘에서도 매우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면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 같은 데에서.

아무튼 그래서 거리 구하는 방법은 알고 있어야 한다. 수학적으로 막 깊이 파고들 필요는 없어도 개념은 이해하고 가야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일단 들어가기에 앞서 코드를 통해 점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야지. 뭐 별 건 아니다.

예를 들어, 흔히 말하는 x, y축만 있는 2차원에 점을 나타내고 싶다면 [5, 8]와 같이 쓸 수 있을 거다. 물론 꼭 2차원으로만 있는 건 아니다. 5차원 점은 [4, 8, 15, 16, 23]과 같이 표현하면 된다.

자, 이제 파이썬으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찾는 함수를 작성해볼 거다.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

1
distance([1, 2, 3], [5, 8, 9])

아, 그리고 여기서 두 점이 가진 차원의 개수는 당연히 같아야 한다.

이제부터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총 3가지 소개하려 한다.

  1. 유클리드 거리 (Euclidean Distance)
  2. 맨하탄 거리 (Manhattan Distance)
  3. 해밍 거리 (Hamming Distance)

물론 더 많지만 일단 이 3개만 알고 가자.

1. 유클리드 거리 (Euclidean Distance)

‘유클리디안 거리’라고 영어 단어를 그대로 읽기도 하는데, 아무튼 가장 널리 쓰이는 거리 계산 방법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2차원에 있는 점 p와 q의 거리를 구한다면

Euclidean Distance

이렇게 나타낼 수 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떠오를 거다. 중학교 때 다 배웠던 거다.

\[d(p,q)={\sqrt {(p_{1}-q_{1})^{2}+(p_{2}-q_{2})^{2}}}\]

그리고 위 예제는 2차원이지만 만약 n차원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면 이렇게 나타낼 수 있겠다. 각 차원의 차를 제곱해서 모두 더한 값의 제곱근이다.

\[d(p,q)={\sqrt {(p_{1}-q_{1})^{2}+(p_{2}-q_{2})^{2}+ \cdots +(p_{n}-q_{n})^{2}}}\]

이걸 파이썬 함수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def euclidean_distance(pt1, pt2):
  distance = 0
  for i in range(len(pt1)):
    distance += (pt1[i] - pt2[i])  2
  return distance  0.5

# print(euclidean_distance([5, 4, 3], [1, 7, 9]))

2. 맨하탄 거리(Manhattan Distance)

맨하탄 거리도 유클리드 거리와 유사하긴 한데, 각 차원의 차를 제곱해서 사용하는 게 아니라 그냥 절대값을 바로 합산하는 거다.

아래 그림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쉽다. 실제로 맨하탄 거리라는 이름도 도시의 골목길을 걸을 때의 모습과 유사하기 때문에 붙은 거라고 한다. (몇 블록 이동하는지 상상해보자.)

Manhattan Distance

그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맨하탄 거리는 항상 유클리드 거리보다 크거나 같다.

2차원에서 맨하탄 거리는 이렇게 구하게 될 거고,

\[d(p,q)=\left|p_{1}-q_{1}\right|+\left|p_{2}-q_{2}\right|\]

만약 n차원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면 이렇게 나타낼 수 있겠다.

\[d(p,q)=\left|p_{1}-q_{1}\right|+\left|p_{2}-q_{2}\right| + \cdots + \left|p_{n}-q_{n}\right|\]

이걸 파이썬 함수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def manhattan_distance(pt1, pt2):
  distance = 0
  for i in range(len(pt1)):
    distance += abs(pt1[i] - pt2[i])
  return distance

# print(manhattan_distance([5, 4, 3], [1, 7, 9]))

3. 해밍 거리 (Hamming Distance)

해밍 거리는 앞서 설명한 유클리드 거리, 맨하탄 거리와는 좀 다른 개념이다.

해밍 거리에서는 각 차원마다 차이를 찾는 게 아니라 ‘정확히 같은지’ 여부만 고려한다. 그래서 주로 맞춤법 검사와 같은 알고리즘에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단어 “there”와 오타 “thete”사이의 해밍 거리는 1인 셈이다. 각 문자가 차원이며 이 예시에서 각 차원은 네 번째 문자 “r”과 “t”를 제외하고 동일한 값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어 “there”와 오타 “thete”사이의 해밍 거리는 1이다. 각 문자가 곧 차원이고, 이 예시에서는 네 번째 문자 “r”과 “t”가 다르기 때문이다. 결국 서로 다른 글자 개수만 세주는 셈이다.

해밍 거리 구하는 방법을 파이썬 함수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def hamming_distance(pt1, pt2):
  distance = 0
  for i in range(len(pt1)):
    if pt1[i] != pt2[i]:
      distance += 1
  return distance

# print(hamming_distance([5, 4, 3], [1, 7, 9]))

SciPy를 통해 두 점 사이의 거리 구하기

파이썬의 라이브러리 Scipy를 사용하면 위에서 소개한 거리를 매우 쉽게 구할 수 있다.

  • 유클리드 거리: .euclidean()
  • 맨하탄 거리: .cityblock()
  • 해밍 거리: .hamming()

(맨하탄 거리는 city block처럼 몇 블록 떨어져 있는지 구하는 꼴이기 때문에 아예 그렇게 이름이 붙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소개한 해밍 거리를 Scipy에서는 0과 1사이의 값으로 돌려준다. 몇 개 차원에서 차이가 나는지 합산한 다음에 총 차원의 개수로 나누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약 위에서 직접 작성한 함수에서 [1, 2, 3][7, 2, -10]사이의 해밍 거리를 구하면 2이지만, scipy에서는 2/3으로 나온다.

아무튼 scipy에서는 이렇게 거리를 바로 구할 수 있다.

1
2
3
4
5
from scipy.spatial import distance

print(distance.euclidean([1, 2], [4, 0]))
print(distance.cityblock([1, 2], [4, 0]))
print(distance.hamming([5, 4, 9], [1, 7, 9]))

이렇게 거리 구하는 방법을 이해했다면 KNN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거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